SMALL

분류 전체보기 43

자바스크립트 객체? 쌩초보도 이해하기 쉽도록 설명합니다.

안녕하세요 IT에 대한 모든 내용을 전달하는 IT의 타이탄입니다. 아마 이글에 들어오신 분들은 자바스크립트 객체를 검색하셨을 것이고 JS에 대한 기초적인 개념들이 완벽하진 않을 것입니다. 이 글은 다음과 같은 상황에 놓여있는 분들에게 효과적인 글입니다. 1. 자바스크립트의 "자"자도 모르는 분 2. 자바스크립트를 이제 처음으로 배워볼려고 하는 분 3. 리액트, 스프링등이 아직은 무엇인지 정확히 설명이 안 되는 분 이번 글에서는 자바스크립트 안에서 객체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자 합니다. 개념이 제대로 정립되어 있어야 우리가 추후에 코드를 작성하거나, 다른 사람의 코드를 이해하는 데에도 무리 없이 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개념을 정립하시길 바랍니다. 그럼 글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자바스크립트 객체에 대해 ..

I-format이란? (+ 계산 방법까지 전부 쉽게 알려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저번 글에 이어 이번 시간에는 I-format에 대해 가르쳐드릴까 합니다. (저번 글을 보고오지 못하셨다면?) 👉 R-format을 A부터 Z까지 전부 설명해드립니다. 이 글에 들어오기 전 대부분 I-format이 무엇인지 헷갈리고, 다시한번 개념을 정립해보자! 라는 생각을 가지고 찾아오셨을텐데요. 정말 잘 들어오셨다는 말을 전달드리고 싶습니다. I-format에 대해 어느정도 알고 있는지는 전혀 상관없습니다. 제로베이스가 이 글을 읽더라도 매우 쉽게 이해할 수 있게끔 친절히 설명할 예정이기 때문입니다. 다만, I-format을 배우기전에 기초개념 Mips Instruction이 무엇이고, assembler가 무엇인지 모르신다면 이 글을 아무리 쉽게 설명해도 이해하기 어려울 것입니다. 그런 이..

R-format 이란? (+ 계산방법까지 전부 공개합니다.)

혹시 이 글에 들어오시기 전에 이런 고민을 가지고 계셨나요? 1. 대학교에서 R-format에 대해 배웠는데 어떻게 하는지 잘모르겠네 2. R-format을 좀 쉽게 설명해주는데 어디없을까? 그렇다면 잘 들어오셨습니다. 제가 이번 글을 통해 R-format에 대해 5학년 민지도 이해할 수 있게끔 쉽게 설명할 예정입니다. 만약 이번 R-format에 대한 개념을 아예 모르고, Mips Instruction에 대해서도 제대로 모른다면 아래의 글을 읽고 오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Mips Instruction에 대한 총정리 1편 👉 Mips Instruction에 대한 총정리 2편 👉 Mips Instruction에 대한 총정리 3편 이번 글의 목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목차] 1. R-format 이란?..

자소서 꿀팁 잘쓰는 방법? X을 모르실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어디에서도 볼수 없는 자소서 꿀팁에 대해 이야기를 풀어보고자 합니다. 아마 이 글에 들어오신 분들은 구글이나 네이버에 자소서 꿀팁이라고 검색하셨을 것이고 다음과 같은 고민을 하고 계실텐데요 1. 취업 준비생인데, 자소서는 어떤식으로 작성해야하지? 2. 자기소개서 꿀팁 어디없나? 합격하려면 어떤식으로 써야할까? 3. 합격 자소서 예시는 어디 없을까? 참고해서 쓰고싶은데 결국 이런 고민들을 하는 이유는 우리가 원하는 기업에 합격하기 위해서일 것입니다. 그렇다면 반드시 이글에 주목하셔야하는데요. 단 3분의 시간만 투자하신다면 어디에서도 볼수 없는 정보들을 얻어가실 수 있습니다. 이 내용은 LG 채용담당위원 16년이상 근무하신 인사담당자의 인사이트 및 경험들을 전달하기에 믿고 읽어주시길..

비즈니스 2023.09.23

[컴퓨터구조] Logical Operation란? (+ 계산방법)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Logical Operation란 무엇이며, 이에 대한 계산방법은 어떻게 하는지에 대해 가르쳐드릴까 합니다. Logical Operation는 Mips Instruction에서 사용되는 명령어인데요. 이에 대한 내용들을 이번 글에서 풀어보고자 합니다. 이 글은 다음과 같은 상황에 처하신 분이 본다면, 효과적인 글입니다. 1. 컴퓨터 구조시간에 Logical Operation를 배웠지만, 잘 이해가 되지 않는 분 2. 교수님에게 질문하기에는 부끄러워서 혼자서 논리 연산에 대해 배우려고 하시는 분 3. Logical Operation에 대한 과제를 하려고하는데 개념에 막혀서 이도저도 못하시는 분 이번 글의 목차는 다음과 같으니, 여러분에게 필요한 정보만 가져가시길 바랍니다. [목차]..

1의보수와 2의보수, 이 글로 종결내드리겠습니다.

안녕하세요 IT의 타이탄입니다. 아마 이글에 들어오신 분들은 다음과 같은 고민이 있으셨을텐데요 "1의 보수를 하는법이 뭐였더라, 2의보수는 또뭐지 두개 방법의 차이가 뭐야 대체" 해당 고민을 하셨다면 이번 글을 통해서 제가 전부 해결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글의 목차는 다음과 같으니 여러분에게 필요한 정보만 찾아가시길 바랍니다. [목차] 1. 1의보수의 개념 및 계산 방법 2. 2의보수의 개념 및 계산 방법 그러면 1의보수를 하는 방법부터 가르쳐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의 보수 및 2의 보수 개념 및 계산 방법 1. 1의보수 개념 및 방법 1의 보수란, 2진수로 표현되어 있는 양수값을 음수로 바꾸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중 하나인데요 1의보수는 음수로 표현하기 가장 간단한 방법중 하나입니다. 그 이유는 바..

[컴퓨터구조] MIPS Arithmetic 곱셈, 나눗셈에 대해 알아보자 3편

지난 시간에는 MIPS Arithmetic이 무엇인지 Instruction이 무엇인지, add / addi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만약 아직 MIPS Arithmetic가 무슨 뜻인지도 모르겠고 헷갈린다면 아래의 글을 반드시 보고 오시길 바랍니다. 👉 MIPS Arithmetic에 대해 알아보자 1편 👉 MIPS Arithmetic에 대해 알아보자 2편 이번 글에서는 MIPS Arithmetic의 곱셈과 나눗셈은 어떻게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만약 MIPS Arithmetic 곱셈 및 나눗셈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거나 헷갈린다면 끝까지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MIPS Arithmetic 곱셈 및 나눗셈 1. MIPS Integer Multiplication ( MIPS 정..

자소서 작성? 이 글로 전부 정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자소서 작성에 대한 꿀팁을 여러분께 전달드리고자 합니다. 아마 많은 분들이 글에 들어오기 전 다음과 같은 고민을 하셨을 것 같습니다. " 자소서 작성 어떻게 해야하지? 자소서 쓰는 방법을 배워볼순 없는걸까? " " 자소서를 쓰는법에 대한 기초적으로 알아야하는 것들은 없을까? " " 취준은 하려고하는데 자소서부터 막막하네... 자소서 작성은 어떻게 해야하는거야? " 답답한 이 상황속에서 제가 최근에 들은 자소서 작성법에 대한 내용을 여러분께 전달드리고자 합니다. 저에게 자소서 작성법을 가르쳐주신 분은 LG채용담당으로 19년이상 계신 교수님으로 현재 고려대, 한양대등의 취업 강연 및 동아리를 운영하고 계시곤 합니다. 교수님께서는 문과계열의 경우 30개당 1번의 면접 기회 / 이과계열..

비즈니스 2023.09.11

R언어 기초 문법, 모르면 무조건 보세요 1편

이번 글에서는 R언어에 대한 기초 문법을 작성해볼까 합니다. 저는 응용통계학을 배우기전 R언어라는 언어를 들어본적도 없었습니다. 그렇기에 만약 이 글을 보시는 분들이 R언어에 대한 기초도 없으시다면 정말 행운이라고 생각하셔도 좋습니다. 초보도 이해하기 쉬울 정도로 제가 최대한 쉽게 작성할 예정이니 3분의 시간만 투자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R언어에 대한 기초문법 설명은 3편으로 구성할 예정입니다! 1. R언어의 기초 / 데이터 타입 2. 벡터 / 리스트 3. Factor / Data Frame / Data Import 그러면 R언어의 기초부터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R언어의 기초문법 1. R언어의 기초 R언어는 파이썬과 C++과 같은 컴퓨터 언어입니다. R언어는 우리가 언제 사용하게 될까요? 바로 데이터..

개발 2023.09.07

[컴퓨터구조] Instruction과 MIPS를 알아보자 2편

지난 시간에는 컴퓨터구조를 왜 배워야하는지와 Instruction과 MIPS에 대한 간략한 의미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만약 1편을 안보신 분들이라면 1편을 보고 오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Instruction과 MIPS에 대한 기초개념 정리 1편이 끝나가는 시점에서 저는 여러분들에게 다음과 같은 질문을 드렸었는데요. " Source Operands(소스목적어)에 변수를 담으면 에러가 나는데 왜 에러가날까?" "명령어로 addi, mulu, divu가 존재하는데 이건 무엇이고 sub는 왜 subi가 없을까?" 이거에 대한 대답할 수 있다면, 이번 글은 굳이 안 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대답이 어느 정도 나오거나 긴가민가 , 혹은 아예 답조차 생각이 나지 않는다면 이 글을 끝까지 읽어주시길 바..

LIST